실기 공부 | BIM 운용전문가 2급 토목 ( 도로분야 : Civil3D + Navisworks ) #1
시험환경에 대한 설명을 먼저 할까 합니다. BIM 운용 전문가 2급 실기 시험은 노트북으로 진행됩니다.
결과 제출물은 개개인에게 주어지는 usb에 저장하여 제출하는 형식입니다.
시험 고사장으로 가게 되면 정문에 고사실에 대한 안내문이 붙어있습니다.
고사실은 대체로 깔끔한 편이었습니다.
2022.07.02에 진행된 실기 1회는 풍문고등학교에서 진행됐습니다.
아래의 사진 또한 풍문고등학교 시험 고사장의 사진입니다.



다음으로 저의 경우 한국 BIM 교육 평가원 자료실에 공개되어있는 예시문항으로 공부를 했습니다.
상당한 큰 도움이 됐습니다. 실제 시험문제도 비슷하게 나왔습니다.
실제 실기시험은 응시 타입이 크게 구조분야(Revit + Navisworks)/도로분야(Civil3 d + Navisworks)로 나뉩니다.
두 가지의 유형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도로분야(Civil3 d + Navisworks)로 응시했습니다.
도로분야의 경우 (▶ 택 2.)에 해당하는 문제를 풀게 됩니다.
(▶ 공통.)의 경우 구조분야와 도로분야 상관없이 모두 성과품을 제출해야 합니다.
저의 경우 채점기준표를 함께 참고하며 공부했습니다.


자유 활용의 경우 정지작업의 문제로 대체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위의 사진에서는 자유 활용(+10점)으로 출제됐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자유 활용(+10점)이 정지작업(+10점)의 문제로 출제됐었습니다.
정지작업 문제가 출제되지 않을 때는 자유 활용으로 출제가 되리라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생각..)


합격기준은 100점 만점 기준 60점입니다.
채점기준표에서 저는 넉넉하게 감점받을 거 감안하며 전략을 새워 공부했습니다.
계획 획득 점수 (80/100)
모델 계획서 5점 + 지형 작성 15점 + 도로 BIM 모델링 설계 19점 + 정지 작성 3점 + 물량산출 5점 + 토공량 산출 3점 + 도면화_도로분야 15점 + 4D 시뮬레이션 15점
빨간 점수의 경우 정해진 절차만 진행한다면 깎일 부분이 없다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30점 만점으로 기재했습니다.